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웰빙

니파바이러스 전염 경로, 증상 및 예방법

by 뭉크k 2025. 5. 15.
반응형

니파바이러스 무엇이길래 1급 감염병 지정까지?

최근 보건당국이 치명률 최대 90%에 달하는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을 1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기로 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1급 감염병으로 지정된 '니파바이러스'
1급 감염병으로 지정된 '니파바이러스'

 

이름도 생소한 니파바이러스, 얼마나 위험한 걸까요?

 


니파바이러스란?

니파바이러스(Nipah Virus, NiV)는 박쥐에서 유래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인간에게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최초 발견: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 마을

📌 사망자 수: 현재까지 220명 이상 사망

📌 전파 지역: 동남아시아, 인도, 방글라데시 등

 

세계보건기구(WHO)는 니파바이러스를 다음 팬데믹의 유력한 후보로 지정하고 있으며, 치료제도, 백신도 없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경계하고 있습니다.

 


전염 경로

자연숙주

니파바이러스는 주로 열대과일박쥐(Pteropus spp.)가 숙주입니다. 이 박쥐는 자신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바이러스를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옮길 수 있습니다.

열대과일박쥐가 니파바이러스의 숙주
열대과일박쥐가 니파바이러스의 숙주

동물 → 사람 전염

✔︎ 박쥐 배설물에 오염된 야자수즙이나 과일 섭취

✔︎ 박쥐의 배설물에 노출된 돼지 등 가축을 통한 간접 감염

 

사람 → 사람 전염

✔︎ 감염자의 침, 체액, 혈액, 호흡기 분비물 접촉 시 감염

✔︎ 병원 내 전파 사례 다수 보고됨

 


증상 및 치사율

니파바이러스는 4~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 초기: 고열, 두통, 근육통, 구토, 인후통

✔︎ 중기: 어지러움, 의식 혼란, 경련

✔︎ 후기: 급성 뇌염, 혼수상태, 사망 가능성

 

치명률은 최대 90%에 달할 수 있으며, 치료제 없이 대증 치료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니파바이러스 치명률은 90%에 달할 수 있다
니파바이러스 치명률은 90%에 달할 수 있다

 

👉 현재로서는 해열제나 소염제를 통한 대증치료만 가능합니다.

 


진단 방법

질병관리청은 최근 니파바이러스의 진단법을 개발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진단 방식

✔︎ 바이러스 RNA 탐지: RT-PCR

✔︎ 항체 검사: ELISA

✔︎ 뇌척수액 검사

 

👉 이는 확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의 일환입니다.

 


백신과 치료제는?

아쉽게도 현재까지 상용화된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습니다.

현재까지는 니파바이러스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다
현재까지는 니파바이러스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다

 

✔︎ 항바이러스제(예: 리바비린, 파비피라비르 등)는 실험적 수준

✔︎ 예방은 오로지 위생관리와 노출 차단에 달려있습니다.

 

니파바이러스는 RNA바이러스로 변이가 잦아, 코로나 19와 유사한 특성을 가졌습니다.

 


국내 방역 현황

니파바이러스의 위험성이 커지자, 질병관리청은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을 1급 감염병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신속 보고 및 격리 가능

✔︎ 진단기술 보유 및 조기 대응

✔︎ 감염자 발생 시 공공의료체계 즉각 대응 가능

 

이는 '다음 팬데믹'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려는 조치로 해석됩니다.

 

👍 같이보기 좋은 글! - 코로나 봉쇄 5년 후, 청년들은 아직도 고통받고 있다

 

코로나 봉쇄 5년 후, 청년들은 아직도 고통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5년, 청년들은 여전히 힘들다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그때 시행된 봉쇄 조치가 이제는 먼 과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청년층의 정신 건강은 여전히 그 그림자 안

moon-gk.tistory.com

 


주요 발병 지역

📌 말레이시아: 1998년 최초 발병, 돼지에서 인간 감염

📌 방글라데시, 인도: 2001~ , 매년 주기적으로 발생, 주로 야자수즙 섭취가 원인

📌 인도 케랄라: 2018, 2023, 사람 간 전파, 높은 사망률, WHO 경고 및 국제 감시 강화

니파바이러스가 아직은 전세계적으로 발병 되진 않았다
니파바이러스가 아직은 전세계적으로 발병 되진 않았다

 


니파바이러스 예방법

백신도 없고 치료제도 없다면, 예방이 최선의 방어입니다.

 

피해야 할 행동

✅ 박쥐가 접근한 야자수즙, 생과일 섭취 금지

 해당 지역 동물과 밀접한 접촉 자제

 감염자와 접촉 시 마스크, 장갑, 보호복 착용

 여행 시 위생수칙 철저 준수

여행 시 위생수칙 준수
여행 시 위생수칙 준수

 


마무리하며

니파바이러스는 지금은 해외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세계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국내 방역당국도 진단법 개발, 감염병 등급 상향 등으로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기는 합니다만,

 

스스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질병이 또다시 우리를 팬데믹의 시간으로 가둘지 아무도 모릅니다!"

 

 

파비플로라, 체지방 관리에 효과적일까?

체지방 관리,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뜨겁다!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체지방감소 기능성 식품의 구매액은 2019년 1,497역 원에서 2023년 2,316억 원까지 급증했다고 합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

moon-gk.tistory.com

 

반응형